우주과학9 [태양계] 9번째(였던) 행성, 명왕성 명왕성(冥王星, 영어: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입니다. 암석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의 위성인 달에 비교하면 질량은 6분의 1, 부피는 3분의 1 정도라고 합니다. 태양으로부터 29~49 AU 떨어진 타원형 궤도를 돌고 있으며, 공전 주기는 약 248년, 자전 주기는 6일 9시간 43분입니다. 이심율이 큰 타원형 궤도 때문에 해왕성의 궤도보다 안쪽으로 들어올 때도 있다고 하네요. 2014년 기준으로 태양에서 32.6 AU 거리에 있습니다. 1930년에 미국의 클라이드 톰보가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2006년까지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인정됐었습니다. 명왕성의 발견은 전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고, 이 새로운 별을 명명할 권리를 가지고 있었던 로웰 천문대는 ‘아틀라스’부터 ‘자이멀’ (Z.. 2023. 5. 4. [태양계] 여덟번째 행성, 해왕성 해왕성의 해왕(海王)은 ‘바다의 왕’이라는 한자어로, 포세이돈(그리스 신화명) 또는 넵투누스(로마 신화명)를 번역한 것입니다. 해왕성은 8개 행성 중에서 직경으로는 4번째로 크고, 질량으로는 3번째로 크죠. 해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17배로, 질량이 지구의 15배인 쌍둥이 행성 천왕성보다 약간 더 무겁습니다. 해왕성과 태양의 평균 거리는 45억 1,300만 km(30.1 AU)이며,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대략 30배에 해당합니다. 천문 기호는 포세이돈의 트라이던트(삼지창)을 형상화한 Neptune symbol.svg입니다. 1840년대에 발견되고부터 1930년대까지 해왕성은 태양계 최외곽 행성이었습니다. 1930년에 명왕성이 발견됨으로써 해왕성은, 1979년부터 1999년까지 명왕성이 해왕성 궤도 안으.. 2023. 4. 23. [태양계] 일곱번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Uranus)은 태양계에 8개 행성 중 일곱번째 행성입니다. [일반] 태양계의 행성들 중 세 번째로 반지름이 크고 네 번째로 질량이 크죠. 영어 이름 '우라노스(Uranus)'는 크로노스의 아버지이자 제우스의 할아버지인 그리스의 신 우라노스에서 따온 것입니다. 이 행성은 기존의 다섯 행성들처럼 맨눈으로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늘에서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데다 매우 어둡기 때문에 그 존재가 오랫동안 인류에게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천왕성은 여러 다른 천문학자들에게 맨눈으로 관측되기도 하였으나, 그들은 모두 천왕성을 어두운 별이라고만 생각하였죠. 천왕성의 최초 발견자로 불리는 윌리엄 허셜도 천왕성을 아주 큰 망원경으로 보고 동그란 모양이라는 점 때문에 처음엔 꼬리가 발달하지 않은 혜성인 줄 알.. 2023. 4. 18. [태양계] 여섯번째 행성, 토성 토성(한자: 土星, 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입니다. Saturn이라는 이름은 로마의 신 '사투르누스(Saturnus)'에 기원한 것으로, 영어로 토요일을 나타내는 Saturday도 여기서 나왔죠. 이는 그리스 신화에서의 제우스의 아버지인 크로노스, 바빌로니아에서는 니누르타(Ninurta)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또한 토성은 Jewel of the Solar System(태양계의 보석)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토성은 태양계 행성 가운데 매우 멀리 있는데도 토성의 고리가 있기 때문에 밝은 빛으로 빛나며 수성보다도 밝은 빛을 내고 있습니다.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km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 2023. 4. 4. 이전 1 2 3 다음